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의료복지

by 위로♡ 2019. 9. 10.
반응형

제1절 의료사회사업

Ⅰ. 의료사회사업의 정의
의료사회사업은 사회적 요인들과 질병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서 질병을 하나의 사회문제로 보고 의료기관에서 사회사업가가 진료팀의 일원이 되어 효과적인 진단과 치료에 지장을 주는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환자와 그 가족을 돕는 전문 분야이다.
즉, 의료사회사업은 의료기관에서 사회사업가가 질병의 원인이 되거나 치료의 효과를 방해하는 환자의 심리적, 사회적 및 경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돕고, 환자가 퇴원 후에도 정상적인 사회기능을 하도록 환자 자신과 그의 가족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 의료사회사업의 개념

1. 기술적 개념
의료기관에서 치료팀의 일원으로서 사회사업의 전문적인 실천방법론을 활용하여 환자의 질병치료와 회복 및 사회복귀기능을 돕는 목적을 가지고 질병으로 파생되는 환자의 심리적 사회적 및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조정하여 환자 및 그 가족들을 돕는 전문적인 활동이다.
따라서 의료사회사업가는 임상의료팀의 일원으로서의 위치를 가지고 예방, 진단, 치료, 사후지도, 사회복구 등 광의의 의료에 참여하게 된다.

2. 정책적 개념
질병의 예방과 건강증진 및 향상을 지향하는 의료복지를 목적으로 한 영역에서 Case Work, Group Work, Community Organization, 사회조사, 사회복지정책 등의 광범위한 방법론을 통하여 보건의료의 욕구측정과 의료서비스 전달체계를 평가하고 그 개선과 활용을 용이하게 하며, 의료의 질 향상은 물론 의료보호와 의료서비스 확대 및 질적 향상을 기여하는데 참여하는 사회사업의 한 과정이다.

Ⅲ. 의료사회사업의 역사

1. 의료사회사업의 기원적인 활동
의료사업의 역사는 구빈 역사화 함께 전개되었으며, 전문직으로 발전하기 이전까지 5가지형태의 서비스가 의료시설에 있었다. 비조직적인 봉사활동으로 수도원과 구빈원들이 설립되어 빈곤환자의 가정방문을 통해 치료와 생활원조를 실시하였고, 부녀봉사원들이 빈곤환자의 적격여부를 사정하여 의료기관에 의뢰하였고, 정신병환자의 사후지도를 통해 위탁가정이나 사회복지시설의 요양원 등에 의뢰가 이루어졌다. 환자의 질병에 대한 사회경제적 제 조건을 이해시키기 위한 대학의 자원봉사 장려 등은 의료사회사업의 기초가 되었다.

2. 구미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의료사회사업의 전문화는 1895년 Mary Stewart가 영국 왕실시료병원 사회사업가로 채용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1919년 미국 병원사회사업가협회가 결성되었고, 1955년 전국사회사업가협회가 결성되었다.
1930년대의 대공황으로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영역은 사회적 심리적 문제를 가진 환자로 확대되었으며, 2차 대전 이후에는 재활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사회복귀시설에 처음으로 사회사업가가 채용되었다.

3.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현대적 의료사회사업의 시작은 1883년 세브란스 병원에서 자원봉사자들이 Lady Almoner의 역할을 한 것이 그 기원이다. 1959년 국립중앙의료원, 원주기독병원이 개원과 동시에 의료사회사업이 시작되었고, 1966년에는 사회사업가가 정식으로 채용되어 활동하고 있다.
1973년 의료사회사업의 전문화를 위하여 대한의료사회사업가협회가 설립되었으며, 그 후 계속하여 의료사회사업이 확대 실시되고 있다.

Ⅳ. 의료사회사업의 기능

1. 의료팀과의 협동
의료사회사업가는 환자의 가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평가하고 이를 의료팀에 보고하며, 환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 협동하여 임상각과의 개입 요청에 따른 지원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2.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의료사회사업가는 환자의 진료과정에서 환자 및 가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여 사회사업 서비스를 제공한다. 환자의 병원 생활 적응은 물론, 질병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심리적, 사회적 및 경제적인 문제에 관하여 도움을 제공한다.

3. 병원내의 프로그램 계획과 정책결정에 참여
효과적인 환자치료를 위하여 병원행정이나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하며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4.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결 및 지역사회 보건사업에 참여
지역사회의 사회복지기관이나 의료기관 및 행정당국과의 관계를 통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자원을 조직하고 동원한다.

5. 교육 및 조사연구 참여
사회사업활동을 필요로 하는 수요를 측정하고 요구에 따라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병원 행정이나 정부의 보건의료 정책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Ⅴ.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1. 심리사회적 치료자의 역할
바람직한 의료서비스를 받는데 있어 환자가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고 참여의욕을 증진시킴으로써 당면문제를 해결하거나 완화되도록 돕는 치료적인 역할을 말한다. 또한 환자와 가족관계에서 협력과 치료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환자의 재 적응의 문제를 돕는 활동을 들 수 있다.

2. 서비스 조정자의 역할
진단과 치료 및 서비스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심리사회적, 경제적인 정보를 의료팀에 제공하여 환자의 전인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 의료팀의 종합적이고도 통합적인 서비스를 위한 협력과 조정을 담당한다.

3. 자원동원가
재활과정에 있어 필요한 의료적인 제 사회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원조직화를 비롯하여 환자의 병 회복과 재활 및 사회복귀를 위한 지역사회의 공·사적인 사회자원을 조직하고 동원하는 역할이다.

4. 재활치료와 교정자의 역할
재활과정에서 파생될 수 있는 심리사회적인 문제나 행동반응을 치료하거나 교정 및 생활지도를 하여 사회기능 회복이나 잠재기능을 개발하도록 하도록 돕는 역할이다.

Ⅵ. 의료사회사업의 실천영역

1. 일반의료사회사업

1)일반의료사회사업의 개념
일반의료사회사업은 환자의 치료과정에서 파생되는 문제의 해결이나 효과적인 진료를 위한 협력적인 활동이며, 환자의 질환이나 치료과정에 악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인 문제, 빈곤환자의 재활문제 등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서비스와 자원활용, 조정의 활동에 중점을 두는 활동이다.

2)일반의료사회사업가의 활동내용
⑴개인력 및 사회경제적 배경 조사
⑵심리사회적 문제사정 및 지지 격려
⑶퇴원계획
⑷의료보장 전환
⑸간병인 문제
⑹지역사회 자원연결

2. 정신보건사회사업

1)정신보건사회사업의 개념
정신적·정서적 장애를 가진 환자나 그 가족을 대상으로 정신과 병·의원 및 요양시설 등에서 손상된 심리, 사회적 기능의 회복과 동시에 문제발생을 예방하여 국민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치료, 재활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사업의 한 영역이다.

2)정신보건사회사업가의 활동내용
⑴개인력 조사
⑵사회조사 및 사회사업지도
⑶가정방문
⑷정신과적 재활요법
⑸작업 및 오락요법

3. 재활의료사회사업
재활의료사회사업은 장애의 기능회복과 잠재능력의 향상을 통한 적극적인 사회참여로 기본욕구의 충족과 자기실현을 할 수 있도록 사회자원을 조직화하거나 동원하여 주로 심리사회적 진단과 치료 등을 서비스하는 사회사업의 활동분야이다.
재활의료사회사업가는 병원에서 제공하는 의료적 치료를 조정, 보강하여 사회적, 정신적인 인간내면의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돕고, 퇴원 후 정상적인 자신의 사회적 기능을 발휘하도록 사회사업방법을 활용함으로써 환자의 치료 및 재활을 돕는다.

4. 자선의료사회사업
자선의료사회사업은 빈곤한 환자에 대한 무료 또는 의료비를 지원하여 진료케 하는 일이다. 1953년 아동자선병원에서 무료진료가 시작되었으며, 예수병원에서는 극빈 환자를 위한 후원회를 결성하여 경제적인 문제를 돕는 등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5. 지역사회보건사회사업
지역사회보건사회사업이란 지역사회 보건기관에서 지역사회주민의 건강향상과 복지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지역사회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의료사회사업의 한 영역으로, 보건소·모자보건센터·병원 및 의원 등의 기관이 수행하고 있다.

 

제2절 정신보건사회복지

Ⅰ. 정신장애의 개념과 그 기준
의학적으로 증상과 행동, 심리적 증후군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정신장애는 개인에게 발생되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행동적·심리적 양상으로 이러한 양상은 현재의 고통이나 무능력을 동반하거나 죽음이나 통증, 자유의 상실의 위험을 증가시키게 된다.
Jahoda는 정신이 건강의 여부를 기준 삼는 요소로 다음을 들고 있다.

①자기에 대한 태도가 어떤가
②성장, 발달, 그리고 자기 실현을 할 수 있는가
③통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
④자율성이 있는가
⑤현실에 왜곡되지 않는 지각
⑥환경의 지배

Ⅱ. 정신보건사회복지
정신보건사회복지란 정신적·정서적 장애로 어려움을 받고 있는 사람들의 치료 및 재활, 문제 발생의 조기 개입과 예방을 통하여 국민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정신의료기관 또는 환자의 회복을 돕는 사회복귀시설 등에서 실시하는 모든 사회복지적 접근방법이다.
오늘날 정신보건사회사업은 정신의료기관 내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정신건강센터에서부터 주거시설 등에 이르기까지 활동영역이 확대되어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는 물론 정신건강 증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실천서비스가 주어지고 있다.

Ⅲ. 정신보건사회복지의 발달

1. 미국 정신보건사회사업의 발달

1)태동기
1773년 버지니아주에 최초로 정신병원이 설립되어 정신병 환자를 감옥으로부터 이전시켰다. 1905년 보스톤의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는 환자의 질병이 그 배후의 사회환경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깨닫고, 사회사업가를 최초로 채용하였다. 이듬해 맨해튼 주립병원은 환자의 사회력 조사와 사후지도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목적으로 사회사업가가 채용하였다.

2)발전기
1913년 보스톤 정신병리병원에서 정신의료사회사업가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다.

3)정착기
1920년 보스톤 병원의 정신의료사회사업가들이 정신요법을 시행하였고, 1942년에는 정신의료사회사업가협회의 결성으로 전문가로 인정받게 되었다.

4)지역사회정신보건체계의 확립
1950년대 이후 사회사업가들은 집단요법, 가족치료, 병실환경 등에 관심을 가졌고,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지역사회 건강센터에서 행정적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었다.

2. 한국 정신보건사회사업의 발달

1)태동기
미군병원에서 정신의료사회사업가가 정신과의사와 함께 일하는 것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Ralph W. Morgan의 역할은 정신의료사회사업가의 필요성을 인식시켜 주었다.

2)발전기
1973년 의료법시행령이 개정되어 종합병원에 환자의 갱생, 재활과 사회복귀를 위한 상담과 지도를 위해 사회복지사를 1인 이상 두도록 명시하였다.

3)정착기
1993년 한국전신보건사회사업학회가 창립되고, 전문 학술지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이 창간되었다. 1995년 정신보건법이 제정됨으로써 활동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되었고, 1996년 정신보건법의 시행으로 지역사회까지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Ⅳ. 정신보건사회복지의 대상
정신보건사회복지의 대상은 첫째, 정신장애로 진단된 환자의 정신병리와 기존 병리를 사정하고 평가하여 진료팀과 협력적으로 개입해야 하는 정신장애인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이다. 둘째, 정신장애로 인하여 파생되는 심리사회적 문제와 가족들에게 미치는 영향 등에 개입해야 하는 문제이다. 셋째는 만성장애인에 대한 사회복귀와 정신사회재활을 위한 법적 제도적 보장과 전달체계의 확충 등 환자의 권익옹호와 대변자적 역할 개입에 관한 일 등이다.

Ⅴ.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기능과 역할

1.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기능

1)정신과 치료팀과 협력
2)환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3)병원내 프로그램 계획과 정책결정에의 참여
4)지역사회 지원조직과 연결
5)교육프로그램에 참여
6)정신보건 및 정신사회재활을 위한 연구조사

2.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신보건 영역에서의 사회사업적 개입은 환자의 질병보다는 그로 인한 저하된 문제해결 능력과 사회적 기능을 회복, 향상시키는 재활에 그 일차적 목적이 있다. 따라서 정신보건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 내에 각종 인적, 환경적인 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하여 환자들의 사회적응을 돕는 일은 물론 재가복지 서비스를 주도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에게 요구되어 지는 역할은 보다 적극적이고 광범위하며 직접 지역사회와 현장에서 움직이는 사회복지사 본연의 역할이다.

Ⅵ.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실천분야

1. 치료시설: 종합병원 정신과, 정신과 전문 병·의원
2. 지역사회보건소
3. 정신요양원
4. 사회복귀 시설
5.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

반응형